[작성자:] 미나미동

  • 2배·3배 레버리지 ETF, 왜 위험할까? 쉽게 끝내는 핵심 정리

    “지수가 오르면 2배로 먹는 거 아니야?”

    처음 레버리지 ETF를 보면 누구나 한 번쯤 이렇게 생각한다.

    차트가 이쁘게 우상향만 해준다면야 그 말이 틀리지 않다. 문제는 시장이 우리가 원하는 방식으로 움직여주지 않는다는 데 있다.

    하루에 오르고, 그 다음 날 내리고, 또 오르다가 살짝 쉬고… 이 흔들림 속에서 레버리지 ETF는 생각보다 빠르게 체력이 소모된다.

    오늘은 ‘왜’ 그런지를 딱 감이 오도록, 수식 없이 풀어보겠다.

    레버리지 ETF는 “하루 수익률을 2배(혹은 3배)”로 맞추도록 만들어졌다.

    이 문장에서 가장 중요한 단어가 “하루”다.

    한 달 누적, 1년 누적을 2배로 보장하는 상품이 아니다.

    운용사는 매일 장이 끝나면 파생상품 포지션을 재조정해서 내일도 다시 2배가 되도록 세팅한다.

    이 매일의 재조정이 쌓이면, 우리가 머릿속으로 그린 “지수의 2배”와 실제 결과는 점점 달라진다.

    감이 잘 안 오면 아주 간단한 예시를 떠올려보자.

    지수가 100에서 시작해서 첫날 10% 오르고, 둘째 날 9.09% 빠져서 다시 100으로 돌아왔다고 하자. 결과적으로 지수는 본전이다.

    그런데 2배 ETF는 첫날 20% 오르고, 둘째 날 18.18% 빠진다.

    숫자만 보면 “거의 본전 아니야?” 싶지만, 100에서 120이 됐다가 18.18%를 잃으면 98.18이 된다.

    지수는 제자리인데, 2배 ETF는 -1.82%.

    별거 아닌 이틀의 흔들림이지만, 이런 왕복이 여러 번 반복되면 손실이 눈에 보이게 쌓인다.

    이걸 ‘변동성 감가’라고 부른다. 같은 시작과 같은 끝이어도, 중간 경로가 덜컥거리면 레버리지는 성과가 마모된다.

    박스권에서는 이 현상이 더 선명해진다.

    하루는 +1%, 다음 날은 -1%, 다시 +1%… 이런 식으로 몇 주만 흘러도 지수는 원위치에 가까운데, 레버리지 ETF만 슬금슬금 밀려난다.

    이유는 간단하다. 매일 배수를 곱하는 일복리 구조라서 오른 날과 내린 날이 번갈아 나오면 곱셈 결과가 조금씩 불리해진다.

    여기에 매일의 재조정 메커니즘이 기름을 붓는다.

    전날 올랐으면 다음 날 배수를 맞추느라 포지션을 늘려야 하고, 내렸으면 줄여야 한다.

    추세가 꺾이는 순간에는 고점에 많이 들고, 저점에는 적게 들게 되는 역설이 발생한다.

    인간 트레이더가 일부러 그렇게 하라면 안 할 행동이지만, 규칙은 냉정하다. 이 역설이 장기 보유에서 누적 손실로 변한다.

    비용도 무시하기 어렵다.

    총보수는 일반 ETF보다 높고, 파생상품을 쓰느라 발생하는 스왑 비용과 스프레드, 추적오차가 성과에 스며든다.

    거래 빈도가 높다 보니 피로도도 커진다.

    시장이 순풍 불 때는 잘 안 느껴지지만, 횡보나 변동성 확대 구간에서는 이런 마찰비용들이 확실히 존재감을 드러낸다.

    시간은 장기 투자자의 친구라고들 하지만, 레버리지 ETF에선 그 말이 잘 통하지 않는다. 시간이 길어질수록 마모가 커진다.

    그럼 레버리지 ETF를 절대 쓰지 말아야 하느냐? 그렇지는 않다.

    이 도구가 빛나는 순간이 분명 있다.

    방향성과 기간이 뚜렷한 짧은 추세, 그리고 그 추세를 매일 관리할 수 있는 상황.

    “강한 상승이 2~3주 이어질 확률이 높다”는 판단이 있고, 손절과 퇴출 규칙을 스스로 어기지 않을 자신이 있다면, 작은 비중으로 효율적으로 노출을 키울 수 있다.

    핵심은 두 가지다. 첫째, 시간을 짧게 가져갈 것. 둘째, 규칙을 사전에 정하고 반드시 지킬 것.

    실전에서 어떻게 적용하느냐가 더 중요하니, 간단한 프레임을 하나 제시하고 마무리하겠다.

    목표–진입–퇴출, 이 세 줄만 명확히 적어둔다.

    예를 들어 “지수 강세 추세 2~4주 노출 극대화”가 목표라면,

    진입은 “20일선 위에서 돌파 후 3일 연속 고점·저점 상승” 같은 객관식 조건으로 적는다.

    퇴출은 “종가 20일선 이탈”이나 “고점·저점 하락 전환”처럼 단순하게.

    그리고 시간 스톱을 꼭 붙인다.

    가격 손절만 믿지 말고 “최대 10거래일” 같은 만기일을 정해두면, 박스권에서 질질 끌리는 걸 막을 수 있다.

    포지션 크기는 자산의 일부—5~10% 같은 범위로 제한하자.

    레버리지는 맞으면 크게 맞고, 틀리면 빨리 털어야 하는 도구다.

    정리하면 이렇다. 레버리지 ETF는 ‘하루 수익률을 증폭’시키는 아주 특정한 공구다.

    길게 들고 가면 대부분의 시장 참여자가 상상하는 그림과 결과가 어긋난다.

    시장이 생각보다 오래 흔들린다는 사실, 그리고 그 흔들림이 레버리지에게는 복리로 누적된다는 사실만 기억하자.

    짧게, 작게, 규칙적으로. 이 세 가지만 지키면 유혹은 도구가 되고, 방심하면 도구는 위험으로 바뀐다.

  • 혁신 에너지 기업 IREN, 지금 매수할 때일까?

    주식 시장에서 ‘데이터 센터’랑 ‘비트코인’이라는 단어에 귀가 쫑긋해질 때가 있죠.

    바로 오늘 이야기할 IREN이 그런 케이스입니다.

    이 두 가지를 다 하는 2018년 설립된 데이터센터 회사, IREN을 들여다보겠습니다.

    주식이 어떻게 움직이고, 최근 뉴스는 무엇이며, 앞으로 어떻게 흘러갈지 한 번 살펴볼까요?


    1. IREN은 어떤 회사인가?

    IREN은 호주 시드니에 본사를 둔 데이터센터 기업으로, 비트코인 채굴과 AI 클라우드 서비스를 위한 친환경 데이터센터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미국과 캐나다에 위치한 대규모 그리드 연계 시설을 갖추었고, 100% 재생 에너지를 사용하여 미래 컴퓨팅 파워 수요를 감당합니다.

    친환경과 기술이 만난 기업이죠.


    2. 최근 거래일 가격 흐름과 기술적 분석

    IREN 주가 흐름
    • 최근 주가: 약 18.45달러 수준이며, 최근 24시간 동안 약간 하락(-0.65%)했지만, 이후 소폭 반등해 18.50달러 정도 거래되고 있습니다.
    • 기술적 분석: 매우 긍정적입니다. 20, 50, 200일 이동평균선 모두 상승세를 보이고 있고, 단기 및 장기 추세가 강한 상승을 나타냅니다. RSI 지수는 중립 수준이며, MACD도 약간 상승 모멘텀을 보이고 있지만 변동성이 커 입성은 조금 기다리는 게 좋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전체적으로는 강한 기술적 지지와 상승 추세가 유지 중입니다.

    3. 최근 뉴스 및 주요 이슈

    • 7월 2025월 매출 기록: IREN은 7월에 8600만 달러의 월 매출 및 6600만 달러의 하드웨어 이익을 기록하며 최고 실적을 냈습니다.
    • 비트코인 채굴: 평균 해시레이트 45.4 EH/s, 728 비트코인 채굴, 하드웨어 이익률 76% 유지 등 탄탄한 기반을 다지고 있습니다.
    • AI 클라우드 확장: 2400개의 최신 NVIDIA GPU 도입 중이며, 4,300개 GPU 규모로 확장 중입니다.
    • 신규 데이터센터: 50MW급 Horizon 1 액체 냉각 AI 데이터센터가 2025년 4분기 완공 예정이며, 1400MW 규모 Sweetwater 1 시설도 진행 중입니다.
    • 자금 조달: 5억 5천만 달러 규모 전환사채 발행 완료로 투자 기반 확실.

    4. 현재 매수 적정성 및 적정가

    • 전문가들은 IREN의 목표 주가를 최대 27달러까지 보고 있으며, 현재 가격 대비 상승 여력이 남아 있다고 평가합니다.
    • 기술적 지표가 강하지만 변동성도 있으므로, 당장은 단기 조정이나 횡보를 기다리며 분할 매수하는 전략이 유효할 수 있습니다.

    5. 앞으로 예정된 이벤트

    • 다음 분기 실적 발표 예정일: 2025년 9월 10일
    • 2025년 4분기까지 AI 데이터센터 완공 및 Sweetwater 시설 확장 진행 중
    • 추가 대규모 GPU 도입 및 AI 클라우드 서비스 확장 계획 지속

    6. 최근 실적과 다음 분기 실적 가이던스

    • 최근 분기 매출: 약 1억 4810만 달러 (예상치 1억 5196만 달러 대비 다소 낮음)
    • 순이익: 2423만 달러, 전 분기 대비 28% 증가해 안정적
    • 당분기 주당순이익(EPS): 0.11달러, 예상 0.12달러 대비 소폭 아쉬움
    • 다음 분기 예상 EPS: 0.18달러, 매출은 1억 8891만 달러로 성장 예상

    결론

    IREN은 친환경 에너지 기반 데이터센터와 AI, 비트코인 채굴을 결합한 미래형 기술 기업입니다.

    최근 기록적인 매출과 이익률을 자랑하며 AI 인프라 확장에 박차를 가하고 있어 향후 성장성이 기대됩니다.

    기술적 지표도 상승세를 시사하지만, 단기 변동성을 고려해 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적정 가격대는 현재 주가 대비 약 30~40% 상승 여력이 있는 것으로 분석됩니다.


    투자 참고용이며, 매수 권유가 아님을 밝힙니다.

  • JOBY 주식 분석: 하늘을 나는 택시, 지금 사야 할까?

    JOBY 주식, 요즘 난리죠?

    “하늘을 나는 택시”라는 컨셉 하나로 꿈과 논란을 동시에 먹고 사는 기업!

    오늘은 바로 그 Joby Aviation에 대해 쉽고 가볍게, 하지만 알짜 정보로만 콕 집어 한 번 풀어볼게요.


    1. 이 회사, 뭐하는 회사지?

    Joby Aviation은 미국 캘리포니아에 본사를 둔 ‘eVTOL'(electric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전기 수직이착륙) 항공기 개발사예요.

    쉽게 말해, 조용하고 친환경적인 “하늘 택시”를 만드는 회사입니다!

    2009년 스타트업에서 시작해 현재는 1,700명 넘는 전문가들이 모여 있고,

    Toyota, 델타항공 등 대기업들과 손잡고 있습니다.

    장기적으로는 전 세계 어디든 빠르고 친환경적으로 사람을 실어나르겠다는 목표를 세웠죠.


    2. 최근 주가, 그리고 기술적 분석

    JOBY 주가 흐름
    • 최근 종가: 2025년 8월 8일 기준, $16.64 (1일 −3.54% 하락).
    • 주간/월간: 최근 일주일 −3.98%, 한달 45% 급등, 1년전 대비 230% 상승! 변동성 큰 종목이죠.
    • 기술적 신호: 단기적으로 과열된 모습이 있지만, 중장기 모멘텀은 살아 있다는 평가. 대표적 기술 지표 기준 현재는 ‘중립(Neutral)’, 저점에서는 매수세, 최근 단기 급등 구간에서는 일부 차익 실현 움직임도 관찰됩니다.
    • 애널리스트 의견: 목표가 $6~$22로 박찬 전망, 리스크 감수 가능한 투기적 매수만 권고하는 분위기예요.

    3. 최근 이슈 & 뉴스에 따른 가격 영향

    • 모멘텀 이슈: 최근 Blade Air Mobility 승객 사업부 인수 및 도요타 2차 투자(총 $500M 중 첫 $250M 집행), 일본 ANA와 제휴 확대 등 긍정적 이슈가 주식 랠리에 힘을 줬어요.
    • 큰 뉴스: 2025년 8월, 첫 FAA 인증 기체 최종 조립 진입 발표(상업화 막바지!)와 L3 Harris와의 군용 드론 공동개발 소식. 걸림돌이던 FAA 인증이 마무리 단계까지 왔다는 점이 주가를 크게 끌어올렸어요.
    • 위험신호: 하지만 2025년 2분기 실적이 시장 기대치를 98%나 밑돌고, 적자 폭도 전년 대비 160% 이상 확대(순손실 $324.7M), 단일 매출은 $15,000(!)에 불과해 실적 쇼크 후 단기 급락도 있었어요.

    4. 매수 적정성 및 적정가 전망

    • 현재 매수 적정성: 꿈을 사는 종목. 현 주가가 1년 전 대비 230% 오르고, 실적은 계속 적자. FAA 인증 기대감, 대규모 투자 유치, 글로벌 파트너십 등 좋은 소식으로 오르지만, 실적 없이 기대만 먹는 상황입니다.
    • 적정가: 애널리스트 컨센서스 목표가는 $6~$22(최소~최대치). 현재 $16~$17 구간은 시장 기대를 상당히 반영한 상태니, 성장성/상업화 일정에 수익이 달린 하이리스크 하이리턴 종목이에요. 단기 차익실현 구간, 중장기 매수는 분할 접근이 권장됩니다.

    5. 앞으로 예정된 이벤트

    • FAA TIA 비행시험: 2025년 하반기~2026년 상업화를 위한 FAA 마지막 시험 진행 예정.
    • ANA와 일본 진출, 두바이 상업화: 2025년 일본 오사카 EXPO에서 데모 비행 및 일본 상업 서비스 출시(100대 이상 공급), 중동 두바이 상업화 시범계획도 진행.
    • Blade 인수 본격화: 전통 헬리콥터 기반 고객을 전환, 초기 매출 기반 확보 기대.
    • 군사용 드론 공동개발: L3 Harris와의 하이브리드 VTOL, 2025-26년 시범운영.

    6. 최근 실적 및 다음 분기 가이던스

    • 2025년 2분기 실적: 매출 $15,000, 순손실 $325M(주당 −$0.41). 투자금 소진 속도는 완만해졌지만 여전히 대규모 R&D 투자 진행.
    • 가이던스: 단기적 매출 기대 어려우나, 상업 비행/파트너십 확대에 따른 시장 선점 기대감. 성공적으로 상업화될 경우 매출 폭발적 증가 예상되나, 여전히 시간은 필요.

    결론&주의

    JOBY는 아직은 실적과는 거리가 먼, 꿈과 기대감이 주가에 반영된 전형적인 하이리스크 혁신주입니다. 상업화와 FAA 인증에 진짜 성공한다면 세상이 뒤집힐 테지만, 반대로 프로젝트가 늦어지거나 규제 이슈 발생시 큰 조정도 감수해야 합니다.

    본 글은 단순 참고용 투자정보이며, 어떠한 투자 권유도 아님을 밝힙니다.

  • 메타(Meta) 2025년 2분기 실적 발표

    실적, 정말 잘 나왔다고? 숫자 밑바닥까지 까보자

    실적발표와 시장의 반응

    메타, 2025년 2분기 실적. 주가? 정규장에서 잠깐 고개를 숙이나, 시간외 거래에서 무려 10~12% 급등. 애널리스트 ‘어닝 서프라이즈’ 소리가 여기저기서 터집니다. 시장 예상 EPS $5.92? 실제로는 무려 $7.14, 매출 475억2,000만달러(21.6%↑). 네, 압도적이죠.

    매출/이익 – 압도적 숫자, 광고가 견인

    • 총매출: 475억2,000만달러.
    • 광고매출: 거의 다! 465억6,000만달러, 21.5%↑.
    • 순이익: 183억4,000만달러, 전년 대비 18% 성장.
    • 영업이익률: 47%.
      애널리스트 예상치를 가볍게 박살낸 배경은 광고. ‘AI 광고 도구’로 무장한 수백만 광고주가 경쟁적으로 예산을 퍼붓고 있다는 사실이 눈에 보입니다.

    비용과 투자 – AI 인력, 인프라에 퍼붓는 돈

    • 총비용/지출: 270억7,000만달러, 12%↑(전년비).
    • 인력·R&D가 주범.
    • 2025년 연간 비용가이드: 1,140억~1,180억달러.
    • AI/데이터센터 투자: 660억~720억달러.
      포인트는 AI 인력. “인프라 바로 다음으로 인건비가 급증한다”는 메타 설명. AI 슈퍼랩 설립, 국내·외 AI 고급인재 영입 경쟁. “기술 인재 적은 팀이 성과를 낸다”는 저커버그 발언이 돋보입니다.

    리얼리티랩스 – AR/VR은 아직…

    • 매출: 3억7,000만달러(+5%).
    • 영업손실: 45억3,000만달러.
      AR/VR, 메타버스 이런 이름값은 있는데 수익성? 아직은 ‘돈 먹는 하마’. 누적 손실이 700억달러 육박. 퀘스트 VR, 레이밴 AI 안경 매출이 늘긴 했지만, 적자는 당분간 기정사실.

    향후 전망 및 CEO 발언

    • 3분기 매출 전망: 475억~505억달러(월가 예상치 상회).
    • 저커버그: “비즈니스-커뮤니티 모두 강한 성장. ‘퍼스널 슈퍼지능’(AI)에 사활 걸었다!”
    • 향후 투자도 AI/인프라/메타버스에 집중.

    메타의 2분기는 ‘AI 광고 도구’와 ‘비용 통제력’이 돋보인 분기입니다.

    • 광고, 압도적으로 성장
    • AI 인력/인프라 투자, 미래 먹거리 푸쉬
    • 하지만 리얼리티랩스 등 신사업은 여전히 적자
    • 비용(특히 인건비) 계속 증가, 앞으로도 ‘비용파티’ 지속될 듯
      이런 점에서, 성장 스토리와 비용 부담을 동시에 안은 메타.
      ‘AI, 실적 둘 다 잡았다’ VS ‘비용은 계속 늘어난다’ – 여러분 선택은?